연세대학교 경력개발센터경력개발센터취업정보실커리어디자인청년고용정책실공지사항
메인메뉴 바로가기
메인콘텐츠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보안체크중...  
연세대학교 경력개발센터
아래로
처음으로
청년고용정책실
청년고용정책 알리미
PRINT

2018
06.25

img
‘연구개발 직무의 이해’를 듣고
분류 : 고용뉴스  No. 154   등록일 : 2018.06.25   작성자 : 홍*)
    416

연구개발 직무의 이해를 듣고

 

 

 

안녕하세요! 대학일자리센터 SNS 서포터즈입니다.

201865일에 청송관 185호에서 <연구개발 직무의 이해> 특강을 듣고 왔습니다.

산업과 직무 역량의 이해의 과목의 특강 리스트 중에 유일하게 이과와 관련되어 있는 특강이었는데

작년 직무나침반아카데미에 오셨던 서울 F&B의 대리 분이 오셨습니다.

 

 

  1.jpg   

 

R&D의 정의

 

 

이과생이 아니라면 생소할 수도 있는 분야, 연구개발 직무는 흔히 R&D라고 축약해서 쓰며

늘여 쓰면 Research and Development

문화사회를 망라하는 지식의 축적 분을 늘리고 그것을 새롭게 응용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창조적인 모든 활동입니다.

      

서울 F&B에서 이 R&D 직무를 갖고 계신 대리님은, 서울 F&B가 강원도 횡성군에 위치해 있고,

현재 외국으로 수출을 하며 성장 기업에 들어있는 중소기업이라고 소개하셨습니다.

  

저희가 CU 같은 편의점에서 손쉽게 먹을 수 있는 음료품을 판매하는 곳으로

주로 유제품을 생산한다고 하는군요.

 

 

    2.jpg 

 

식품 연구개발 직무

 

     

식품의 연구개발 직무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주로 상품화 과제와 연구 과제로 나누어집니다

대리님께서는 초코 우유를 예로 말씀해주셨는데요,

 

 

 

  3.jpg   

 

제품 개발 및 개선 프로세스

 


상품화 과제에는 첫 번째, 제품 개발 및 개선이 필요합니다.

먼저 정보조사 부분에서는, 시장 조사가 포함됩니다.

이 초코 우유가 어떤 연령대에 인기가 있을 것인지, 다이어트로 먹는지,

식사대용으로 먹는지 그 용도도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어떠한 맛이 인기가 좋을 것인지 예측합니다.

 

   

다음으로는 개발 계획 수립입니다.

좋은 맛을 얻게 하기 위하여 각종 배합 원료가 어떤 것이 있고,

어떤 걸 조합했을 때 어떠한 맛이 나는지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여기에 어떤 마케팅을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려도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인기 있는 만화 캐릭터를 포장 부분에 추가한다면 마케팅적으로 이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실험제품 개발에 있어서는, 원료 배합을 해가면서 어떤 맛이 나는지 끊임없이 테스트하고, 먹어보고,

개발하고, 개선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최적의 맛을 찾아냅니다.

 

   

시험생산에서는, 만약 연구실에서 이렇게 최적의 맛을 찾아 공장에서 생산을 하더라도,

그 맛이 연구실의 맛과 다른 경우를 대비하는 것입니다.

공장에서 생산한 맛이 일치하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 생산을 하고,

이것이 비슷하다고 판단되면 마지막인 제품 생산에 들어갑니다.

 

 

.

 

  4.jpg   

  

품질 및 공정 개선 프로세스

 

 

연구개발 직무의 상품화 과제에서 두 번째는 품질 및 공정 개선입니다.

대량생산된 초코우유에 만약 분말이 자꾸 아래에 가라앉는다는 클레임이 들어온다고 생각합니다.

원인으로는 코코아 분말이 원래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아래에 가라앉을 수밖에 없는 겁니다.

 

이것의 개선안으로는 분말 가루가 잘 가라앉지 않도록 하는 물질을 추가해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테스트를 거친 제품이 개선이 잘 되면 개선안을 적용하고, 품질을 평가하게 됩니다.

 

 

 

  5.jpg   

 

원가 절감 조건

 

 

  6.jpg   

 

원가 절감 모형도 완성

 

   

마지막으로 원가 절감입니다

1kg의 사과 요구르트를 만드는 데에 탈지분유가 10%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산 탈지분유는 kg5,000원이고, 미국산 탈지분유는 3,000원이라고 생각하면

10%가 필요하므로 국내산은 우유의 개당 500원을 탈지분유가 차지하게 되고,

미국산은 300원을 차지하게 됩니다.

  

만약 국내산에서 미국산으로 바꾸는데 크게 맛의 차이가 없다면

개당 200원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보통 식품은 대량으로 판매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원가 절감은 큰 이윤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것 외에 원가절감의 방향으로는 공정의 수를 줄이는 것이 있습니다

기계를 많이 돌릴수록 생산단가가 높아지기 때문에

필요 없는 공정의 수를 줄이고 그만큼 기계 가동비용을 줄이는 겁니다.

 

위에서 R&D에 요구되어지는 2가지 중에 연구과제도 있었는데

원천 기술 확보,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고

지식재산권을 출원하고 등록하는 것이 있습니다.

 

   

실제 강의는 초코우유와 빗대어서 쉽게 설명해주셨고

끝에 R&D에 관련된 간단한 질문도 답을 해주셨습니다

이과 여러분에게는 R&D는 상당히 흥미 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혹시라도 관심 있는 분들이 있다면

다음에 한 번 더 초빙할 수도 있으니 그때 강사님에게 R&D가 무엇인지,
무엇을 하는 직무인지 배워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허채윤.jpg

 

˝졸업한지 오래되고 인성 부족하면 ..
스타트업에서 해외영업이란 - 취업수..
    이전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