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경력개발센터경력개발센터취업정보실커리어디자인청년고용정책실공지사항
메인메뉴 바로가기
메인콘텐츠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보안체크중...  
연세대학교 경력개발센터
아래로
처음으로
청년고용정책실
청년고용정책 알리미
PRINT

2018
05.14

img
IPP 재학생 설명회를 다녀와서
분류 : 경력개발  No. 148   등록일 : 2018.05.14   작성자 : 홍*)
    802

안녕하세요! SNS서포터즈 2기 오지수, 곽지은입니다.

이번에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에서 진행한 IPP 설명회를 다녀왔습니다.

3번의 설명회가 진행되는데, 저희는 59일에 2번째로 진행되었던 설명회에 가서

IPP와 재학생들의 취업을 도와주는 교내 여러 기관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듣고 왔습니다.

 

사진1 (2).jpg

 

대학일자리센터 소개

 

처음으로 소개되었던 기관인 대학일자리센터는 저희 기자단이 속해 있는 기관인데요~

학생들의 취업 알선 및 면접 준비와 진로설계를 도와주시는 선생님들이 계십니다.

myjob.yonsei.ac.kr.ccafe

대학일자리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11로 상담을 원하는 선생님을 선택하여

원하는 시간에 학생회관 2C-Cafe에 방문하여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진2 (2).jpg

LINC+ 사업단 현장실습 절차

 

두 번째로 소개되었던 기관인 LINC+ 사업단은

여름방학, 겨울방학 중 4주 또는 8주간 현장실습 지원을 도와주는 곳입니다.

http://linc.yonsei.ac.kr

위의 사이트를 통해 원하는 기관을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 EIC, 글로벌엘리트학부, 의과대학을 제외한 전 학과의 3, 4학년만을 대상으로 모집합니다.

 

 

 

 

사진3.jpg

LINC+ 사업단 창업스마트랩센터 소개

 

세 번째로 소개되었던 기관인 LINC+ 사업단에 속해 있는 창업스마트랩센터는

졸업 시 필요한 정보인증을 대체할 수 있는 인증제도인

산업실무역량 졸업인증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http://myjob.yonsei.ac.kr

이 또한 교내 경력개발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소개되었던 이 설명회의 하이라이트!!! 기관인 IPP 사업단은

연세대학교가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지원으로 진행하는 사업단입니다.

IPP형 일학습병행제는 IPP(장기현장실습)와 일학습병행제 두 가지로 나뉩니다.

 

 

사진4.jpg

IPP 사업단 장기현장실습 소개

 

장기현장실습은 3, 4학년만을 대상으로 학기 중 4~6개월간 전공 관련 직무로

기업의 실무를 경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협의가 되지 않은 학과가 있으니 주의해주세요.

      

 

 

사진5.jpg

 

IPP 사업단 장기현장실습 진행 절차 소개

 

장기현장실습의 진행 절차는 위와 같습니다.

기술서 및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작성 후 기업에 지원하는 순서로 진행됩니다.


 

 

 

사진6.jpg

IPP 사업단 장기현장실습 참여기업 리스트

 

정말 많은 기업들이 IPP 사업단과 함께하고 있으니 많은 신청 및 지원 바랍니다~

 

 

 

 

사진7.jpg

IPP 사업단 일학습병행제 진행 구조

 

일학습병행제는 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형 인재를 기르기 위하여

기업에 취업을 원하는 대학생을 (학습)근로자로 채용하여 대학교와 함께

실무능력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진행하는 2학기 프로그램입니다.

학교와 회사 측에서 모두 지원금이 나오므로 학비 조달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실제적인 프로그램 진행은 4학년 1학기부터 시작합니다.

 

 

 

사진8.jpg

SNS서포터즈 오지수, 곽지은

 

우리 학교에 이렇게 많은 취업 관련 기관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오늘 설명회를 통해서 다시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통해 학우 여러분들도 취업 고민에 너무 골머리 앓지 말고,

위의 여러 기관들에 노크하여 그 고민들을 잘 해소해 나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곽지은(가로형).JPG


오지수(가로형).JPG

 

 

 

 

‘Legend of YED’를 듣고
<지속가능한 발전과 청년 리더쉽> 반..
    이전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