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경력개발센터경력개발센터취업정보실커리어디자인청년고용정책실공지사항
메인메뉴 바로가기
메인콘텐츠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보안체크중...  
연세대학교 경력개발센터
아래로
처음으로
청년고용정책실
청년고용정책 알리미
PRINT

2018
11.06

img
[이미지 메이킹] 호감을 주는 바디 랭귀지
분류 : 경력개발  No. 175   등록일 : 2018.11.06   작성자 : 홍*)
    204


[이미지 메이킹] 호감을 주는 바디 랭귀지

 


ㅂㅂㅂㅂ.png




안녕하세요, 대학일자리센터 SNS 서포터즈입니다!
지난 이미지 메이킹은 퍼스널 칼라에 대한 것이었다면,
이번 이미지 메이킹은 호감을 주는 바디 랭귀지인데요,
지난 10월 25일 목요일 미래관 443호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바디 랭귀지 특강의 경우에는
여러분이 발표를 했을 때도 응용할 수 있는 부분이 많으니 꼭 실전에 적용해보시기 바랍니다.



 

1.jpg

▲ 무슨 내용을 강의할지 설명하는 모습


지난 이미지 메이킹 특강에 이어 이번 특강에서도 메이킹 허니 대표님께서 강의해주셨습니다.
강사님께서 손쉽게 호감도를 올리고 전문가처럼 보이는 팁을 공개해주셨습니다.


먼저,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람들을 설득하거나 중요한 포인트에 대해 설명할 때 여러분은 어떤 제스처를 취하나요?

아마 손가락으로 무언가를 콕 짚는 제스처를 생각하시는 분이 많으실 것 같은데요,
사실 이 제스처는 오바마 대통령이 매우 자주 사용하던 제스처입니다.


 

2.jpg

 

▲ 오바마 대통령의 제스처(손가락 첨탑)

 

 

오바마 대통령의 얼굴만 봐도 굉장히 중요한 것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 같은데,
손가락의 모양을 보시면 엄지와 검지를 모아 첨탑의 형태를 만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스처는 이 말만큼은 꼭 들어야 한다는 중요함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신념을 표하는 제스처입니다.
CEO들이 회사의 대표 이미지로 등록하는 사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제스처인데요,




 

3.jpgnoname01.png


▲ 신념을 표현하는 제스처

 

하지만 이러한 제스처들은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위에 놓고 보여주는 손의 경우에는 신념을 나타내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사진처럼 내려놓고 하는 경우에는

상대를 아래로 보고 있다는 느낌을 보여줄 수가 있습니다.

그러니 어떠한 바디 랭귀지를 할 때는 이 규칙을 기억해야 합니다.

 

 

1. 몸을 안쪽으로 꼬지 않고 넓게 벌린다.

2. 아래로 향하는 것보다 위로 향하게 한다.

3. 신체의 부위가 많이 닿는 것보다 적게 닿는 것이 좋다.

(턱을 괼 때, 손가락 하나로 괴는 것은 호기심을 뜻하지만,

주먹으로 괸다면 몹시 지루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4. 손을 옆으로 하는 제스처는 부정, 혹은 지루함을 나타낸다.

5. 둥근 제스처는 부드러움, 존중의 느낌을, 직선적인 제스처는 강하고 명령적인 느낌을 준다.

 

부정을 강조하는 제스처도 강사님이 언급을 하셨습니다.

마당 쓸기, 탁상치기로 불리는 제스처인데요.

탁상을 소리가 나지 않더라도 가볍게 손을 세워 치는 행위나,

손을 옆으로 크게 미는 제스처를 말합니다.

    

 

5.png

 

부정을 강조하는 제스처

 

여러분들이 이러한 제스처를 자연스럽게 취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겠지만,

제스처를 자연스럽게 취한다면 그만큼 전문적이고 자신 있어 보이면서도

의견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겁니다.

 

  6.PNG   

▲미러링


다음으로는 미러링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러링이란, 쉽게 말해 상대방이 하는 행동을 따라하면 호감을 얻을 수 있다는 건데요.

상대방이 행동을 따라하면 자신이 하는 행동에 불안함을 덜고

친근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PI에 대해 설명해주셨습니다. 처음 보는 사람에게 자신을 간단히 소개해야 할 때

PI를 완벽하게 녹인 명함을 줘야 되는데,

이러한 명함을 만들 때 어떤 PI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가를 배웠습니다.

 

     7.PNG

▲ PI3요소

 

PI3요소는 시각적 이미지, 퍼스널 컬러, 키워드/문장입니다.

위와 같은 3요소를 녹여서 명함을 만들어야 하는데요,

3가지가 잘 연결될수록 더욱 뚜렷한 자신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중요한 정보가 들어간 명함을 줄 때의 팁은 무엇일까요?      

 

     8.PNG

▲ 명함을 줄 때의 팁

      

실제로 학생과 함께하면서 예시를 보여주셔서 모든 학우 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9.jpg

학생과 직접 앞에서 시연해주는 모습

 

바디 랭귀지를 적극 이용하고 미러링을 활용하며 자기 PI를 녹인 명함을 상대에게 주고 리드해 간다면

여러분은 성공적인 주도권을 갖을 것이며 이는 좋은 성과로 이어질 것입니다.

오늘부터 나를 나타낼 수 있는 PI 3요소를 고민해보고 그것을 명함으로 브랜딩 해보세요.

중요한 사람을 만났을 때 첫인상에서만큼은 보다 호감 있는 사람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신예빈.JPG

허채윤.jpg

 

 

 

 

 

[취준女心] 프리젠테이션 발표 스킬
4차 산업혁명 인재양성을 위한 ˝드론 ..
    이전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