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경력개발센터경력개발센터취업정보실커리어디자인청년고용정책실공지사항
메인메뉴 바로가기
메인콘텐츠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보안체크중...  
연세대학교 경력개발센터
아래로
처음으로
청년고용정책실
청년고용정책 알리미
PRINT

2018
11.07

img
[취준女心] 프리젠테이션 발표 스킬
분류 : 경력개발  No. 176   등록일 : 2018.11.07   작성자 : 홍*)
    182

 

 

[취준女心] 프리젠테이션 발표 스킬

 

 

사진1.jpg


안녕하세요, 대학일자리센터 SNS 서포터즈 신예빈입니다.

지난 1031일 수요일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창조관 189호에서

프레젠테이션 발표를 주제로 세 번째 여대생 특화 프로그램이 진행 되었습니다.

사진2.jpg

대학생활을 하며 피할 수 없는 팀플!

여러분들은 어떤 방법으로 팀플을 진행하고 계신가요?

 

5명이 한 팀을 이룬다고 가정하면 대부분은

자료조사, 피피티제작, 조장, 자료조사, 발표

이렇게 각자의 역할을 정하여 진행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성공적인 발표를 만들어내기 어렵습니다!

5명 각자에게 서로 다른 역할을 정해주는 것보다는 전체 분량을 인원별로 나누어서

모든 사람이 참여하고 하나의 정해진 툴에 맞추어 PPT를 만드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사진3.jpg

 


여러분들은 발표를 준비하실 때 무엇을 먼저 하시나요?

혹시 바로 Power point를 켜고 슬라이드를 만들고 계시지는 않으신가요?

 

오늘부터 발표를 준비하실 때 대본을 먼저 작성하여 보세요.

스크립트 제작이 여러분들에게 주어진 발표시간에 맞게 끝났다면

이제부터 슬라이드를 만들어도 괜찮습니다.

 

이렇게 스크립트를 먼저 구상한다면 슬라이드를 만들 때

내용의 중요성에 따라 더 효율적으로 슬라이드를 만들 수 있답니다.

이 방법을 따른다면 여러분들은 분명 지금보다 더 성공적으로 발표를 끝낼 수 있을 것입니다.

 

 


사진4.jpg



대학생활과 대외활동을 하면서 학생들은 제안형문서를 많이 다루게 됩니다.

 

제안형 문서를 다룰 때는 “WHY-WHAT-HOW”가 중요합니다.

 

(1)WHY

왜 이 이야기를 하려고 하는가, 문제가 되는 부분은 무엇인가? (당위성 확보)

 

(2)WHAT

문제를 해결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나? (지향점 공유, 선택권 축소)

 

(3)HOW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액션 플랜)

 

강사님은 직업 특성상 많은 제안서를 보신다고 합니다.

하지만 제안서에 그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대상, , 문제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기술되어 있지 않다면 바로 탈락 시키신다고 해요!

앞으로 제안서를 작성할 때 3가지 요소“WHY-WHAT-HOW”를 염두에 두고 작성하세요.


사진5.jpg

슬라이드를 구성할 때 우리는 3가지 point를 조심해야합니다.

 

첫 번째 포인트는

각 페이지에서 핵심 메시지를 찾아서 해당 슬라이드의 상단에 큰 글씨로 작성하는 것입니다.

목표는 바로 슬라이드의 제목만 보고도 내용 파악이 가능하게 하는 것입니다.

목차를 명시하라는 요구가 있었다면

슬라이드의 제목보다 작고본문 내용보다는 큰 글씨로 작성하는 게 좋습니다.

 

두 번째 포인트는

One slide, One message를 따라야합니다.

한 슬라이드에는 우리가 강조하고 싶은 하나의 정보만이 들어가야 합니다.

발표 스크립트를 작성하기 전에 슬라이드를 만들 경우 많이 나타나는 현상인데요,

모든 슬라이드는 발표 시간이 비슷해야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One slide, One message를 명시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발표의 마지막을 "THANK YOU" 슬라이드로 끝내지 않는 것입니다.

마지막 슬라이드는 발표의 대미를 장식하는 부분입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마지막을 “Q&A""THANK YOU"로 마무리해서는 안 됩니다.

청중들의 기억에 가장 오래 남는 마지막 슬라이드에는

내가 오늘 발표에서 가장 전달하고 싶은 핵심 문장을 적어야 합니다.

 

3가지 포인트가 달라졌을 때, 우리의 발표는 지금보다 더 업그레이드되어 있을 것입니다.


사진6.jpg

발표를 하러 강단에 올라설 때 웃는 얼굴을 유지하여야 하며,

인사를 할 때는 말로 인사를 먼저 한 후 허리를 숙여 인사하여야 합니다.

말로 인사를 하고 허리를 굽히면 청중들은 박수를 보내줍니다.

 

그렇다면 발표를 하는 중 우리의 손은 어디에 위치하는 게 좋을까요?

발표를 할 때 긴장으로 인한 손의 떨림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한 손으로 나머지 손을 받친 후

명치와 배꼽 사이에 손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사진7.jpg

많은 학우들이 발표를 할 때 컴퓨터 뒤에서 발표를 하시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좋지 않으며, 무조건 앞으로 나와 전면을 드러내고 발표를 하여야 합니다.

스크린이 책상 등으로 막혀있지 않다면,

스크린의 오른쪽이나 왼쪽의 모서리

(컴퓨터와 가장 멀리 떨어져있는 모서리)부분에 서있는 것이 좋습니다.

 

스크린의 크기가 커서 우리가 정중앙에 위치하여도 스크린을 가리지 않는다면,

스크린의 중앙에 위치하고 청중과 가까워질 수 있게 최대한 앞쪽으로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5분 이상의 발표를 하는 경우 좌우이동을 통해 청중들이 지루하지 않게 해 주어야 합니다.

움직이는 타이밍은 한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넘어갈 때(슬라이드를 넘길 때)가 가장 좋습니다.

 

또한 우리는 청중들과의 아이컨택을 계속 유지하며 발표를 이어나가야 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바로 청중이 부담을 느껴 다른 생각을 하지 않고 발표에 집중하게 만들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긴장된다고 벽이나 천장을 보고 발표하는 것이 아니라

청중과의 아이컨택을 해야 합니다.

이상의 발표스킬 외에도 슬라이드를 만드는 꿀팁 등등의

많은 유용한 정보들을 전해주셨습니다.

 

여러분들도 교내에서 진행하는 많은 프로그램들에 적극 참여해서

많은 정보들을 얻어갈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신예빈.JPG

      


 

 


외국계 기업에 관한 모든 것!
[이미지 메이킹] 호감을 주는 바디 랭..
    이전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