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NS 서포터즈의 허채윤입니다.
오늘은 2022년에 가장 중요하게 여겨질 직무와
그를 위한 스킬 10가지에 대해 알려드리려 합니다!
세계 경제 포럼이 발간한 2018년 직무의 미래(The Future of Jobs)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핵심 스킬의 58%는 2022년에도 유용하지만,
나머지 42%는 새로운 스킬로 대체될 것이라고 합니다.
즉, 42%의 직무 스킬은 곧 필요 없는 것이 될 것이고,
그 외의 다른 스킬을 배워나가야 한다는 것이죠.
4차 산업 혁명이 도래하면서 AI 기술이 투입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현재 다양한 회사가 단순한 업무에도 AI를 도입하여
지금보다 더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고 발표한 바가 있습니다.
이는 곧 저희의 취업에 대한 걱정을 증폭시키는 기폭제가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요?
4차 산업혁명의 기술로 인해 인문학은 상대적으로 소외받고,
IT 쪽의 이공계열만 살아남는 것이 당연시 되는 미래일까요?
정답은 아닙니다.
놀랍게도 실제 분석에 의하면,
인간의 업무 수행력은 기계와 알고리즘에 힘입어
더욱 증대될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기계가 따라할 수 없는 인간 고유의 능력과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힘은 인문학에서 나온다는 것이죠.
이공계에 요구되는 것이 보통 A라면 B이다, 라는
당연한 명제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능력이라면,
인문학에서 요구되는 것은 A가 B가 되기까지의 인간의 마음과 같은
예측할 수 없는 형태에 대한 해석을 하는 능력입니다.
기계에서는 할 수 없는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추론’이 있다는 것이죠..
2022년에 요구되는 스킬은 다음과 같습니다.

딱히 심하게 이공계열로 치우쳐져 있다는 느낌을 얻기는 힘든 편입니다.
오히려 논리적인 사고, 무언가를 하고자 하는 적극성,
어떠한 것을 보았을 때 그것을 분석하고 비판하며 해결할 수 있는 능력,
감성 지능 등등
인문학에 관련된 스킬도 굉장히 많습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사회 전체가 높은 정도의 기술력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정보 사회에 대한 기술 대비는 분명히 필요합니다.
그러나 인문학도가 이공계 학생들보다 가진 강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더 키워나간다면 더 큰 메리트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점은 반대로 말하면, 이공계 학생들도 인문학을 터부시하지 말고
배워나가며 인간 자체에 대한 이해를 해가며,
스스로의 생각에 깊이와 폭을 키워나가야 할 것입니다.
학우여러분도 다채롭게 직무능력 발달을 하여
밝은 미래를 맞이하시길 바랍니다!
